티스토리 뷰
반응형
속성 | 설명 | 사용 전략 |
CREATE | 기존 테이블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 | 개발 초기 단계 초기화 상태로 자동화된 테스트를 진행 하는 개발자 환경 CI 서버 |
CREATE-DROP | CREATE 속성에 추가로 애필리 케이션을 종료할 때 생성한 DDL을 제거 | 초기화 상태로 자동화된 테스트를 진행 하는 개발자 환경 CI 서버 |
UPDATE |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엔티티 매칭 정보를 비교해서 변경 사항만 수정 | 개발 초기 단계 테스트 서버 |
VALIDATE |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엔티티 매칭 정보를 비교해서 차이가 있으면 경고를 남기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음. DDL을 수정하지 않음 | 스테이징 서버 라이브 서버 |
NONE | 자동 생성 기능을 사용하지 않음(속성값을 명시 안했을때와 동일한 기능) | 스테이징 서버 라이브 서버 |
- DDL(데이터 정의 언어, Data Definition Language) : 컴퓨터 사용자 또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가 컴퓨터의 데이터를 정의하는 컴퓨터 언어 또는 컴퓨터 언어 요소 (CRATE, DROP, ALTER, TRUNCATE)
- CI 서버 : 여러 개발자가 작성하거나 수정한 소스를 지속적으로 통합하여 올리는 테스트 서버
반응형
'[JPA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PA] 한글 깨짐 (0) | 2021.02.28 |
---|---|
[JPA] 기본키 매핑 (0) | 2020.12.22 |
[JPA] Not a managed type: class 에러 (0) | 2020.11.28 |
댓글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Visual Studio 2022
- jdk12
- 확인창
- Executor
- 한글깨짐
- junit5
- 카멜 표기법
- gradle
- java11
- IntelliJ
- spring-security
- chmod
- ThreadPool
- Mockito
- codepoint
- sgw
- jdk13
- Redis
- spring
- hot-deploy
- JAVA8
- JUnit
- aspectj
- java
- Jenkins
- JetBrains Mono
- 파스칼 표기법
- Thread
- thread priority
- JPA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