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반응형
권한의 종류
- r (read) : 읽기
- w(write) : 쓰기
- x(execute) : 실행
권한의 대상
사용자(user) | 그룹(group) | 그 밖의 사용자(other) |
rwx | rwx | rwx |
파일에서의 권한 처리
- r : 파일의 내용을 읽을수 있음
- w : 파일을 수정할수 있음 (ex. 파일명 변경, 제거 등)
- x : 파일을 실행할수 있음.
디렉터리에서의 권한 처리
- r : 디렉터리의 이름을 읽을수 있음
- w : 디렉터리를 수정할수 있음 (ex. 만들기, 이동, 복사, 제거 등)
- r : 디렉터리를 탐색할 수 있음
testdir의 처음에 나온 'd'는 디렉터리라는 뜻
그 다음 'rwxr-xr-x'는 세글자씩 읽어보면 'rwx/r-x/r-x'로 각각 파일의 사용자(소유자), 소유자가 속한 그룹, 그 외에 모든 사람에 대한 권한을 보여준다.
여기서 소유자는 읽고 쓰고 실행할 권리를 갖고 있고 소유자가 속한 그룹은 읽기 실행하기, 그외 모든 그룹은 읽기 실행하기 권한을 갖고 있다.
그리고 이 디렉터리의 소유자는 darom 이고, darom이 속한 그룹은 UsersGrp 이다.
리눅스는 이런 권한들을 세자리 숫자의 코드로 표현하는데 이것을 파일 모드라 부른다.
숫자 | 의미 |
4 | 읽기 권한 |
2 | 쓰기 권한 |
1 | 실행 권한 |
0 | 사용 권한 없음 |
r | w | x | 값 | 연산 |
X | X | X | 0 | 0 + 0 + 0 |
X | X | O | 1 | 0 + 0 + 1 |
X | O | X | 2 | 0 + 2 + 0 |
X | O | O | 3 | 0 + 2 + 1 |
O | X | X | 4 | 4 + 0 + 0 |
O | X | O | 5 | 4 + 0 + 1 |
O | O | X | 6 | 4 + 2 + 0 |
O | O | O | 7 | 4 + 2 + 1 |
chmod : 권한의 변경
chmod [mode] file
반응형
'[기타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윈도우] 윈도우에서 md5 체크섬 확인하기 (0) | 2021.05.11 |
---|---|
[Jetty] jetty8/9 hot-deploy 속성 비활성화 (0) | 2021.05.04 |
[표기법] 파스칼 표기법(PascalCase), 카멜 표기법(CamelCase) (0) | 2020.12.10 |
[Gradle] lombok, error: cannot find symbol 에러 (0) | 2020.12.06 |
[JUnit] 경고: Runner org.junit.internal.runners.ErrorReportingRunner (0) | 2020.11.25 |
댓글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jdk13
- chmod
- gradle
- codepoint
- junit5
- thread priority
- Executor
- JetBrains Mono
- java
- Visual Studio 2022
- 카멜 표기법
- Mockito
- java11
- spring
- 확인창
- JPA
- 한글깨짐
- Redis
- Jenkins
- hot-deploy
- IntelliJ
- JUnit
- 파스칼 표기법
- sgw
- JAVA8
- Thread
- aspectj
- ThreadPool
- spring-security
- jdk12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